[뉴스현장] 무더기 하한가 사태 파문…늑장 대응 논란도<br /><br /><br />시가총액만 7조 원이 넘게 증발한 '주가 폭락 사태'.<br /><br />대규모 주가조작 정황이 포착되며 금융당국과 검찰이 합동수사팀을 꾸려 수사에 착수했는데요.<br /><br />공매도 세력 연루 가능성과 대주주의 사전 인지 여부 등을 들여다볼 예정입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의 늑장 대응에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자세한 내용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짚어봅니다.<br /><br /> 8개의 종목이 하한가를 치면서 7조 원이 넘는 금액이 증발한 '무더기 주가폭락 사태'에 대해 검찰과 금융당국이 함께 수사에 나섰습니다. 우선, 사태 개요와 현재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 대상이 된 8개 종목, 무려 3년 동안 상승했고 이 종목들의 그래프 모양이 비슷했다고 해요. 그런데도 왜 미리 사태를 인지하지 못했는지, 이 부분에 대한 의문이 계속 나오거든요? 작년부터 이미 시장에선 '작전설'이 돌았다고 하던데, 금융당국은 알아채지 못했던 걸까요?<br /><br /> 시장 내에서는 '뭔가 이상하다'라는 전문가들의 사전 경고가 있었는데도 사태 예방을 하지 못했던 이유가 뭡니까?<br /><br /> 가장 큰 문제는 아무것도 모르고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개인 투자자들입니다.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는 산정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하던데요, 맞습니까?<br /><br /> 금융당국의 신속한 대응이 있었다면, 끝물에 들어갔었던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는 막을 수 있었을까요?<br /><br /> 이번 사태의 주범으로 꼽히는 게 바로 CFD라고 불리는 차액결제거래입니다. 생소한데요. 정확히 이게 어떤 겁니까?<br /><br /> 이번 사태에서 주가 하락을 더욱 부추긴 이 '차액결제거래', 얘기를 들어보니까 고위험 투자 상품인 것 같은데요. 요 몇 년 사이 인기가 높았다고요? 그런데 감시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, 그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 이번 사태, 통정거래를 통한 '조직적 주가조작' 가능성에 무게가 실립니다. 이게 정확히 어떤 방식입니까?<br /><br /> 금융당국이 조사에 착수한 상황입니다만, 8개 종목 중 하나인 다우데이타 지분을 대량 매도한 김익래 다우키룸그룹 회장에 대한 의혹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김익래 회장 측은 우연의 일치라는 입장이던데요?<br /><br /> 이번 사태에 가수 임창정씨, 박혜경씨 또 이중명 전 아난티 그룹 회장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요. 다들 '피해자'라는 입장인 거죠?<br /><br /> 가수 임창정씨가 지난해 연말, 주가조작 의심 세력의 1조 원 축하 파티에 참석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파장도 컸습니다. 이건 어떤 얘기인가요?<br /><br /> 관련 종목 중 일부가 급락하다가 지난 금요일이죠, 28일 급등하면서 거래가 마감됐습니다. 삼천리의 경우 전 거래일보다 22.89%가 올랐던데요. 갑자기 20% 급등세, 이건 왜 그런 겁니까?<br /><br /> 이렇게 갑자기 20%가 오르고 또 폭락사태로 이른바 '하한가 따라잡기'로 개미 투자자들 유입도 있을 것 같거든요. 이런 상황에서 투자 유의할 점이 많을 것 같은데요. 어떻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